출판물

[재일한인 외교문서 연구총서1] 외교문서로 보는 재일한인의 귀환·송환·봉환

페이지 정보

작성자 DIEAS 작성일23-07-05 20:53 조회65회

본문

6fc4f4195c900883b2474526130018cd_1688557910_8281.jpg

[재일한인 외교문서 연구총서1] 외교문서로 보는 재일한인의 귀환·송환·봉환

박문사 · 2023년 05월 31일


지금까지 재일한인 관련 외교문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한일회담 관련 외교문서를 연구하는 과정 속에서 일부 재일한인의 북한송환사업 및 법적지위협정 문제를 다루고 있을 뿐,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전체상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특히, 한국인 연구 자는 재일한인 연구를 통해 일본의 내셔널리즘을 점검·수정하는 것에 집중한 나머지, 재일 한인 사회와 문화에 한국이 어떠한 형태로 개입해 왔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팀에서는 한국정부의 재일한인 정책을 비판적이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통합 적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한국정부의 재일한인 관련 외교문서는 물론이고 민단을 비롯한 재일한인단체가 발행한 자료를 수집하여 심화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재일한인 을 연구하는 한국인 연구자의 중립적인 포지션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고, 한국인의 내셔널리 즘까지 포괄적으로 점검·수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모색·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1. 어느 「재일 권투선수」의 선택과 1960년대 한국 외교/ 박미아

-「북송교포 김귀하 망명 기도 사건」문서를 중심으로-

2.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 관련 문제점과 외교문서 연구/ 박희영

-1957년~1970년까지의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3. 외교문서(1968~1971)로 본 한국인 원폭피해자 문제/ 소명선

4. 재일한국인 유골봉환과 한국 외교문서/ 엄기권

-모리무라 세이이치 「사사노보효(笹の墓標)」를 중심으로-

5. 일본의 출입국관리법 제정과 재일한인 사회/ 이경규?이행화

6. 일본 조선대학교 설립 및 인가 과정에서 보는 시대 상황과 사회 동향/ 이수경

7. 외교문서로 보는 민단/ 이재훈

-1975년까지의 사료를 중심으로-

8. 재일문학과 공진하는 북송 외교문서/ 임상민

-김달수 「직함없는 남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