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연구총서7] 재일동포의 민족교육과 생활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DIEAS 작성일23-07-05 20:33 조회53회관련링크
본문
[동아시아연구총서7] 재일동포의 민족교육과 생활사
박문사 · 2020년 05월 11일
『재일동포의 민족교육과 생활사』는 재일조선인 동포들의 민족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들 동포들의 생활사가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재일조선인 동포들의 민족교육을 비롯한 동포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파악하고 향후 이들이 마주해야 할 문제들에 대해서도 조망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마이너리티가 다문화 공생 사회를 열어갈 때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과 아이덴티티의 발달-
1. 시작에 앞서
2. 이 글의 의도
3. 민족교육을 중심으로 보는 재일코리안의 선택제한정황
4. 재일코리안의 조국에 대한 「귀속-이탈 증후군」
5.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과 아이덴티티의 발달
6. 재일코리안의 다문화공생의 모색
7. 확인된 사실과 새로운 가능성
〈제2장〉 단절된 역사의 표상 「재일동포」와 한국학교?조선학교 교과서 및 교재 고찰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에 대해서
3. 글로벌 사회 속의 [재외동포]의 변화
4. 「민족」과 「조국」과 「고향」에 예속된 삶에서 분열, 그리고 「지역 주민」으로의 선택
5. 일본의 한국학교 교육
6. 한국학교 교재에서 보는 재일동포 기술 내용
7. 조련 이후 조선학교의 교육 개편과 교과서 내용 변화
8. 한국학교 및 조선학교 졸업생들 감상
9. 나가며 - 민족교육의 변화와 다문화공생사회로의 접근
〈제3장〉 일본 공립학교 민족학급 운동의 성과와 여건 변화에 대한 새로운 대응
1. 민족학급을 논하는 의미
2. 민족학급이 걸어온 길
3. 민족학급의 현재적 과제
4. 한국사회는 민족학급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가?
〈제4장〉 이희건.서갑호를 통해 본 재일동포 모국공헌의 실례와 좌절
1. 재일동포 모국공헌에 무지한 한국인들 「왜 아무것도 모르고 있는 걸까?」
2. 재일동포 모국공헌의 실제 사례
-1948년 건국 이래 對한국공헌 주요 실적을 중심으로
3. 서갑호와 이희건의 모국공헌과 좌절
4. 대한민국은 「재일동포 모국공헌」을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